Jenkins 서버란?

이미지
Jenkins 서버란? 젠킨 서버는 Open Source CI (Continuous Integration) Tool로써 여기서 CI 란 팀의 구성원들이 작업한 내용을 정기적으로 통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말이 약간 어려운데 쉽게 이야기하면 하나의 프로젝트를 여러 명으로 구성된 한 팀이 작업할 때 프로젝트를 리드하는 매니저가 일을 여러가지로 나눠서 팀멤버들한테 분배하고 팀멤버들은 각각 할당된 부분만 작업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팀멤버들은 자신이 담당해서 하고 있는 부분의 소스코드를 정기적으로 SVN과 같은 Version Control System에 Submit 하는데 이 각각의 팀멤버들로부터 Submit된 소스코드들을 정기적으로 통합하는 것을 CI라고 하고 이것을 시행해주는 프로그램을 CI tool이라고 합니다. 왜 사용하나요? Jenkins 서버를 사용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인데 제 개인적인 경험으로 봤을 때 가장 큰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프로젝트의 빌드가 정상적으로 되고 있는지 체크할 때 자동으로 유닛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 (integration test)들의 정기적인 실행. 만약 테스트 결과에 문제가 있을 때 이메일을 통해 리포트 SonarQube 같은 코드의 질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과의 연동으로 코드의 질을 조절  위의 내용을 짧게 이야기하면 Jenkins 서버는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빌드가 되고 있는지를 정기적으로 체크해서 결과를 팀원들한테 알려주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조기에 알려줄 수 있게 해줌으로써 여러 팀 멤버들이 큰 문제없이 각자의 맡은 부분만을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프로젝트 빌드시 자동으로 유닛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를 실행해줘서 잘 못된 점이 있으면 알려주고 또한 현재 얼마만큼의 소스코드를 유닛 테스트가 커버하고 있는지 및 어떤 부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는지 등의 정보도 SonarQube와 같이 연동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원본 :...

레드햇 패키징 하우투 RPM HOWTO (RPM at Idle)

레드햇 패키징 하우투 RPM HOWTO (RPM at Idle)   Donnie Barnes, djb@redhat.com 번역: 이기동 kidong@shinbiro.com   V2.0, April 8, 1997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차 례   1.      소개   2.      개요   3.      일반적인 정보   3.1.    RPM 구하기   3.2.    요구 사항   4.      RPM 사용하기   5.      이제 우리가 RPM을 가지고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 있는가?   6.      RPM 만들기   6.1.    rpmrc 파일 (The rpmrc File)   6.2.    명세 파일 (The Spec File)   6.3.    헤더 (The Header)   6.4.    준비 (Prep)   6.5.    빌드   6.6.    설치   6.7.    설치와 제거의 선행/후행 스크립트   6.8.    파일   6.9.    빌드하기   6.9.1.  소스 디렉...

[CentOS 7] yum Command Hangs on Running Transaction Test Message Error and Solution

<방법 1> # /bin/rm /var/lib/rpm/__db.* # cd /var/cache/yum # /bin/rm -rf * # yum clean all # yum update <방법 2> 위 방식으로도 처리가 안될 시  # systemctl reboot            --;;

Deploying OpenStack with Ansible

이미지

cinder-ceph integration deep dive

이미지

용어 정리 : service level agreement (서비스 수준 협약서)

Service level agreement는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공급자와 사용자간에 서비스에 대한 측정지표와 목표등에 대한 협약서를 말한다. 일반적인 서비스 측정치들은 가용시간이나 응답시간, 헬프데스크 서비스 시간 or 응답시간, 서비스 처리에 대한 완료 or 최초 응답 시간 등이 해당한다. 대표적으로 HP CarePack에서 장애 발생 시 "최초 응답 2시간이내" 등을 규정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대부분 아웃소싱으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작성하며, IT의 운영이나 유지보수 업무 등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일반 계약서와의 차이는 사용자와 공급자간의 협의와 상호 협조로 수행해야 한다는 점이 다른점이다.

RHEL 5, 6 Storage volume 연결 시 sda 변경되는 이슈

< 현상 > Local volume 의 / 가 처음엔 sda 였으나 , storage volume 을 연결하면 storage volume 이 sda 가 되고 / 가 다른 device name 으로 변경되는 이슈 참고 > 다들 아시겠지만 RHEL 6 부터는 Filesystem 의 block id(blkid) 사용을 권장합니다 . 이유는 커널에서 모듈을 읽어올 때 local disk 의 모듈부터 읽는 것이 아니라 먼저 인식된 볼륨부터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 < 해결방법 > RHEL 5  : /etc/modprobe.conf 에서 모듈 로딩의 순서를 지정 # vi /etc/modprobe.conf    alias scsi_hostadapter hpsa    alias scsi_hostadapter qla2xxx RHEL6 : rdloaddriver 를 통한 설정 지정  #vi /etc/grub.conf    rdloaddriver=hpsa rdloaddriver=qla2xxx ( 마지막 줄에 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