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014의 게시물 표시

EPEL Repository 추가

CentOS등 Free Linux를 사용하고 있으면 효율적인게 오픈소스를 편하게 다운로드 받는것이 좋다~! 이는 Repository를 이용하는 Yum을 통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OS를 설치하게 되면 사용할 수 있는 Repository외에도 오픈된 Repository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관심 또는 테스트하려는 프로젝트 사이트에 들어가면 대부분 제공되지만 fedora project는 EPEL이 대표적이다.  자세한 설명은 검색 고고싱! EPEL Repository 설치는 다음과 같다.  다음 사이트로 이동 http://www.rackspace.com/knowledge_center/article/install-epel-and-additional-repositories-on-centos-and-red-hat CentOS and Red Hat Enterprise Linux 5.x wget http://dl.fedoraproject.org/pub/epel/5/x86_64/epel-release-5-4.noarch.rpm sudo rpm -Uvh epel-release-5*.rpm CentOS and Red Hat Enterprise Linux 6.x wget http://dl.fedoraproject.org/pub/epel/6/x86_64/epel-release-6-8.noarch.rpm sudo rpm -Uvh epel-release-6*.rpm CentOS and Red Hat Enterprise Linux 7.x wget http://dl.fedoraproject.org/pub/epel/7/x86_64/e/epel-release-7-1.noarch.rpm sudo rpm -Uvh epel-release-7*.rpm wget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자동으로 repository 등록을 시켜준다.  이제 yum repolist를 통해서 확인...

CentOS Minimal 설치 후 GUI (runlevel 5) 설치하기

CentOS를 대량으로 설치하게될때 설치되는 이미지의 패키지가 적은 것이 좋다. 그리고 서비스 또는 테스트 용으로 사용하게 될때도 불필요한 패키지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필요한 것은 Yum을 통하여 Repository에서 받아 오면 그만!  그래서 나같은 경우는 CentOS를 설치할 때 minimal로 설치하고 GUI가 필요할 때 추가로 설치해 준다.  minimal 설치 후 추가 설치   1. 마우스 우클릭 Terminal      # yum install nautilus-open-terminal  2. GUI 화면으로 부팅하기 (runlevel 5)     # yum groupinstall "Desktop" "Gnome X Window System" 위 작업들은 설치 완료 후 적용을 위하여 logout 후 재 로그인이 필요하다.